본문으로 이동

한어병음
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


한자
발달과정
갑골문자
금문
전서 (대전, 소전)
번체
간체
서체
예서 · 해서 · 행서 · 초서
글꼴
송조체 · 명조체 · 청조체 · 고딕체 · 굴림체 · 교과서체
분류법
필획 · 필순 · 육서 · 부수
한자의 표준화
표준
상용한자 강희자전
문자 개혁
본자 정체자
간체자
약자 신자체
한자의 주음및 표음화
반절 · 주음부호 · 창힐수입법 · 한어병음
나라별 사용
중국 대륙·대만
홍콩·마카오
한국(한국 한자음)
일본(일본 한자음 · 류큐 한자음)
베트남(한월어 · 고한월어)
파생문자1
한국제 한자(이두, 향찰, 구결) · 일본 국자 · 쯔놈 · 방언자·측천 문자·방괴장자· 방괴동자
파생문자2
히라가나 · 가타카나 · 만요가나 · 여서문자 · 서하 문자 · 거란 문자 · 여진 문자

v  d  e  h

한어병음(중국어 정체자: 漢語拼音, 병음: Hànyǔ pīnyīn 한위핀인[*])은 중국어의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발음 기호이다. 한어 병음 자모(중국어 정체자: 漢語拼音字母, 병음: Hànyǔ pīnyīn)는 현대 표준어인 보통화(普通话) 발음을 로마자 자모로 표기하여 성모(聲母)는 b, p, m, f, d, t, n, l, g, k, h, j, q, x, zh, ch, sh, r, z, c, s 등 21개, 운모(韻母)는 yi(-i), wu(-u), yu(-ü, -u), a, o, e, ai, ei, ao, ou, an, en, ang, eng, er 등 15개, 총 36개로 구성되어 있다.

발음

[편집]

성모

[편집]

성모(聲母)는 어두의 자음을 나타낸다. 왼쪽은 병음, 괄호 안은 국제음성기호이다.

입술소리 잇몸소리 혀말이소리 잇몸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
파열음 b(/p/) p(/pʰ/) d(/t/) t(/tʰ/) g(/k/) k(/kʰ/)
비음 m(/m/) n(/n/[1])
파찰음 z(/ts/) c(/tsʰ/) zh(/ ʈʂ /) ch(/ ʈʂʰ /) j(/tɕ/) q(/tɕʰ/)
마찰음 f(/f/) s(/s/) sh(/ ʂ /) x(/ɕ/) h(/x/)
유음 l(/l/[2]) r(/ ɻ~ʐ /[3])
  • 반모음 y(/j, ɥ[4]/)와 w(/w/)는 정식 한어 병음에 포함되지 않는다.
병음 국제음성기호 설명
b [p] 양순 무기 파열음.
p [] 양순 유기 파열음.
m [m] 양순 비음.
f [f] 순치 마찰음.
d [t] 치경 무기 파열음.
t [] 치경 유기 파열음.
n [n] 치경 비음.
l [l] 치경 설측 접근음.
g [k] 연구개 무기 파열음.
k [] 연구개 유기 파열음.
h [x] 연구개 마찰음.
j [] 치경구개 무기 파찰음.
q [tɕʰ] 치경구개 유기 파찰음.
x [ɕ] 치경구개 마찰음.
zh [ʈʂ] 권설 무기 파찰음.
ch [ʈʂʰ] 권설 유기 파찰음.
sh [ʂ] 권설 마찰음.
r [ɻ~ʐ] 권설 접근음.
z [ts] 치경 무기 파찰음.
c [tsʰ] 치경 유기 파찰음.
s [s] 치경 마찰음.

운모

[편집]

운모(韻母)는 성모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나타낸다. 각 칸에서 첫 번째는 IPA이고, 두 번째는 어두 자음이 없는 병음이고, 세 번째는 어두 자음이 있는 병음이다. -r 때문에 조정되는 마지막 음은 소리내지 않는다.[5]

운미
/i/ /u/ /n/ /ŋ/
개음 [ɨ]

-i
[ɤ]
e
-e
[ɑ]
a
-a
[ei]
ei
-ei
[ai]
ai
-ai
[ou]
ou
-ou
[au]
ao
-ao
[ən]
en
-en
[an]
an
-an
[ʊŋ]

-ong
[əŋ]
eng
-eng
[aŋ]
ang
-ang
/i/ [i]
yi
-i
[ie]
ye
-ie
[ia]
ya
-ia
[iou]
you
-iu
[iau]
yao
-iao
[in]
yin
-in
[iɛn]
yan
-ian
[iʊŋ]
yong
-iong
[iŋ]
ying
-ing
[iaŋ]
yang
-iang
/u/ [u]
wu
-u
[uo]
wo
-uo[6]
[ua]
wa
-ua
[uei]
wei
-ui
[uai]
wai
-uai
[uən]
wen
-un
[uan]
wan
-uan
[uəŋ]
weng
 
[uaŋ]
wang
-uang
/y/ [y]
yu
[7]
[ye]
yue
-üe[7]
[yn]
yun
-ün[7]
[yɛn]
yuan
-üan[7]

성조

[편집]
보통화 4성조의 음고(音高) 변화

다음은 표준 중국어의 4성조이다(괄호 안의 숫자는 음고(音高)를 나타낸다: 오른쪽 그림 참고)

  1. 제1성(음평성(陰平聲), 고평조(高平調), 55) (¯):

    (ᾱ) ā ē ī ō ū ǖ Ā Ē Ī Ō Ū Ǖ
  2. 제2성(양평성(陽平聲), 상승조(上昇調), 35) (´):

    (ά) á é í ó ú ǘ Á É Í Ó Ú Ǘ
  3. 제3성(상성(上聲), 저요조(低凹調), 214) (ˇ):

    (α̌) ǎ ě ǐ ǒ ǔ ǚ Ǎ Ě Ǐ Ǒ Ǔ Ǚ
  4. 제4성(거성(去聲), 하강조(下降調), 51) (`):

    (ὰ) à è ì ò ù ǜ À È Ì Ò Ù Ǜ
  5. 경성(輕聲):

    (α) a e i o u ü A E I O U Ü

중국어는 같은 성모와 운모로 구성되어 있어도 성조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.

성조 병음 주음 정체자 간체자
제1성 ㄇㄚ 어머니
제2성 ㄇㄚˊ
제3성 ㄇㄚˇ 말 (동물)
제4성 ㄇㄚˋ 욕하다, 꾸짖다
경성 ma ˙ㄇㄚ 의문문에 쓰이는 조사


컴퓨터에서 나타내는 법

성조\모음 a o e i u ü
제1성 ā
ā
ā

Ā
Ā
ō
ō
ō

Ō
Ō
ē
ē
ē

Ē
Ē
ī
ī
ī

Ī
Ī
ū
ū
ū

Ū
Ū
ǖ
ǖ
ǖ

Ǖ
Ǖ
제2성 á
á
á
á

Á
Á
ó
ó
ó
ó

Ó
Ó
é
é
é
é

É
É
í
í
í
í

Í
Í
ú
ú
ú
ú

Ú
Ú
ǘ
ǘ
ǘ


Ǘ
Ǘ
제3성 ǎ
ǎ
ǎ

Ǎ
Ǎ
ǒ
ǒ
ǒ

Ǒ
Ǒ
ě
ě
ě

Ě
Ě
ǐ
ǐ
ǐ

Ǐ
Ǐ
ǔ
ǔ
ǔ

Ǔ
Ǔ
ǚ
ǚ
ǚ

Ǚ
Ǚ
제4성 à
à
à
à

À
À
ò
ò
ò
ò

Ò
Ò
è
è
è
è

È
È
ì
ì
ì
ì

Ì
Ì
ù
ù
ù
ù

Ù
Ù
ǜ
ǜ
ǜ


Ǜ
Ǜ

각주

[편집]
  1. /j/와 /ɥ/앞에서는 /ɲ/로 소리난다.
  2. /j/와 /ɥ/앞에서는 /ʎ/로 소리난다.
  3. r은 일부 방언에서는 /ʐ/로 소리난다.
  4. y가 u 앞에 있을 때 나온다.
  5. /ər/ (而, 二, etc.) 은 "er"으로 나타낸다. 또 접미사 -r로 형성되는 발음은 병음으로서 나타내는 방법은 없다. 어떤 발음 변화가 있어도 단지 -r을 운미 뒤에 붙일 뿐이다.
  6. "uo"는 "b, p, m, f" 뒤에서는 "o"로 쓰인다.
  7. "ü"가 운두인 운모는 성모가 없거나(이 경우는 앞에 y를 붙이게 된다.) j, q, x 뒤에 올 때 u 위의 두 점을 생략하여 표기한다.

같이 보기

[편집]

외부 링크

[편집]